궁상각치우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안녕하세요. 양재영 전문가입니다.
‘궁상각치우’는 전통 한국음악에서 사용하는 5음 음계의 음 이름입니다.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음악 체계에서 음의 높이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각각의 이름은 다음과 같은 음을 의미합니다:
•궁宮 : 도
•상商 : 레
•각角 : 미
•치徵 : 솔
•우羽 : 라
특징
1. 5음 음계: 궁상각치우는 한국 전통음악에서 주로 사용되는 음계로,
서양음악의 7음 음계(도레미파솔라시)와 달리 파와 시를 제외한 5개의 음으로 구성됩니다.
2.음계의 정서: 단순하면서도 서정적이고 차분한 느낌을 주며,
한국 전통음악의 특유의 멋과 정서를 표현합니다.
3.주요 사용: 판소리, 산조, 정악 등 다양한 전통음악에서 사용되며,
각 음이 특정 정서나 분위기를 상징하기도 합니다.
고대 음악의 오음(五音)을 아우르는 각 이름.
궁(宮)·상(商)·각(角)·치(徵)·우(羽)는 고대 음악에 있어서 다섯 가지의 음계 이름이다.
이것은 5음(音) · 5성(聲) · 정음(正音)이라고도 하는데,
주로 고대 음악 이론 중 선법(旋法) 이론에서 쓰인 말이다.
궁·상·각·치·우의 산출 방법은 음높이를 정하는 삼분분익법(三分損益法)에 의해
먼저 산출된 다섯 음 황종 · 임종 · 태주 ·남려 ·고선을 각각 배열 순서에 따라
황종을 궁음으로, 태주를 상음으로, 고선을 각음으로, 임종을 치음으로, 남려를 우음으로 삼는
각 음계 이름이다.
댓글목록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최고관리자 아이피 115.♡.168.73 작성일
궁상각치우 5계 전통음계는 음악에만 사용하는 게 아니고
1막~5막, 1장~5장 등으로
극본 시나리오에서도 전개 - 본론 - 미감 등으로 쓰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