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의 전쟁준비로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BEMIL 사진 자료실
PLA해군이 핵추진 항공모함을 보유하려는 이유
군사고문관 2025-04-20 22:20:23
PLA가 보유, 운영이 가능한 3척의 항공모함으로는
미해군 항공모함 전체 전단과 전투를 벌여 승리할 확률은 몇%일까?
미해군의 핵추진 항공모함을
PLA해군이 현재 보유하고 있고 가까운 시일 내에 배치될 항공모함까지 포함시키면
해전에서 격파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매우 어렵습니다.
굳이 확률적으로 계산해 보면 승리 확률은 40%를 넘지 않습니다.
↓ 미7함대 USS Ronald Reagan, USS Nimitz and USS Theodore Roosevelt 항공모함 전단과
한국 해군함정과 함께 동해에서 합동훈련 임무수행 모습 /2025042016414138544.jpg (Data : 2017.11.12.)
오랜 기간 동안 중국 군사연구기관들은
미해군이 보유한 핵추진 항공모함 보유에 관련한 각종 장점들과 단점들을 정밀하게 분석하였다고 합니다.
핵추진 항공모함은 빠르고 멀리 이동할 수 있다는 점,
왠만한 중소국가 공군력을 압도할만큼 화력투사가 강력하다는 점
최종적 외교력의 과시로 한 국가의 힘을 그대로 보여줄 수 있는 항공모함의 여러 장점을 특화해 보았더니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고 합니다.
첫 번째 강력한 이유는 해상에서의 신속한 이동작전을 위해서라는 것입니다.
사실, 해상 기동작전에서 핵추진 항공모함의 장점을 요약하자면
군수지원감소, 기동성향상, 전투주도권 강화 등입니다.
자칫 정리된 용어만으로는 큰 의미가 없어 보일 수 있지만,
미해군이 일본해군과 격전을 치른 태평양 전쟁사를 살펴보면
핵추진 항공모함의 장점을 바로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 대만 침공시 미해군과 결전을 하게 될 PLA(중국인민군)해군이
미해군 항공모함 전단과 해상전투에서 교훈을 얻은 모델인
“Battle of the Eastern Solomons”(동부 솔로몬제도 해전)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태평양 전장에서 미국과 일본은 장기간에 걸친 항공모함 전단과의 전투를 벌였는데,
그 중 하나가 Guadalcanal 섬인근에서 벌어진 "Battle of the Eastern Solomons”(동부 솔로몬제도 해전)입니다.
이 해전은 남서태평양의 전략적 주도권을 놓고 미국과 일본 사이에서 벌어진 결정적인 전투였습니다.
양측 해군제독을 보면
미해군측은 Frank Jack Fletcher와 Thomas Cassin Kinkaid,
일본에서 온 南雲忠一(나구모 주이치)와 近藤信竹(곤도 노부타케)였습니다.
이 해전에 참여한 주요 군함은
CV-3 Saratoga(사라토가), CV-6 Enterprise(엔터프라이즈), CV-7 Wasp(와스프) (전쟁 전날 함대에서 분리됨)로
구성된 미해군 전투단과
항공모함 龍驤(류조), 翔鶴(쇼카쿠), 瑞鶴(즈이카쿠)로 구성된 일본의 기동함대,
그리고 곤도 노부타케가 지휘하는 수상함대였습니다
↓ 1942년경의 USS Saratoga(CV-3) 202504201838053838.jpg
이 해전에서 Fletcher가 지휘하는 미해군의 3개 항공모함 함대는 항상 한가지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바로 연료공급이었습니다.
당시 미해군의 추산에 따르면
Fletcher 함대는 과달카날 근처 해역에서 약 1개월 동안 작전을 수행해야 했으며,
그 중 기동대기 시간은 약 15~20일이었으며 해전시간은 약 3~5일이었습니다.
그리고 미해군은 항공모함 전투단이 일본해군 함대에게 접근하거나 교전에서 철수하기 위해
고속으로 기동하고 전투 중에 위치를 바꿔야 한다는 점을 고려했습니다.
따라서 실제 전투가 시작되기 전에 항공모함 기동부대에 연료를 보급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항이었습니다.
그럼으로서 한번의 재급유로 약 7일간의 전투를 감당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당시 미해군 항공모함은 기동성 있는 함대의 핵심이었으며,
일본함대의 항공모함은 항공모함 해상전투에서 미 해군기들의 첫번째 공격대상이 되었습니다.
이는 플레처 제독도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당시 미 정보기관이 제공한 정보가 정확하지 않았고,
미 항공모함 편대가 일본 항공모함 편대의 위치를 찾는 데 실패했기 때문에
플레처 제독이 지휘하는 3척의 항공모함 기동부대는
3차례의 사전 연료보급과 10일간의 이동 대기구역 체류에도 불구하고
일본 항공모함 함대의 구체적인 위치정보를 받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플레처 제독은 1942년8월23일, 동부 솔로몬제도 해역에서 전투가 발발하기 전날
USS Wasp에게 연료보급을 위해 돌아오라고 명령했었고,
USS Enterprise와 USS Saratoga만이 과달카날 동쪽해역에서
일본 항공모함 함대의 전투를 수색하며 순찰을 계속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Wasp 항공모함이 플레처 함대와 분리된 직후,
南雲忠一(나구모 주이치)가 지휘하는 일본 기동함대가 도착했습니다.
8월24일 아침, 플레처 제독의 항모함대가 보낸 정찰기는 일본 항공모함을 발견했다고 보고했지만,
그 기종은 식별할 수 없었습니다.
일본의 기동함대에는
翔鶴(쇼카쿠)와 瑞鶴(즈이카쿠)라는 두대의 대형 항공모함과 경항공모함 龍驤(류조)가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플레처 제독은 당연히 일본의 대형 항공모함 전단을 발견하려고 했습니다.
만약 미 항공모함에서 이륙하는 항공기가 첫번째 공격을 개시한다면,
그것은 필연적으로 여태까지의 전체 해전에서
가장 완벽한 장비를 갖추고, 가장 높은 공격동기를 부여할 수 있었고,
해상전투에 효과적인 공격이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플레처 제독은 경항공모함 류조보다는 일본의 대형 항공모함인 쇼카쿠와 즈이카구를 공격하길 바랬습니다.
그러나 어찌되었든 미 항공모함에서 출격한 해군기들이 공격을 가하면
미해군 항공모함의 위치가 노출되는 위험을 감수해야 했습니다.
만약 미 항공모함이 일본의 2차 목표를 공격하고
일본의 주력 항공모함이 항공모함 기반 항공기를 보내 미국 항공모함을 폭격하게 된다면,
미국은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더 많을 상황이었던 것도 현실이었습니다.
↓ 翔鶴(쇼카쿠) 항공모함의 모습,
1944년6월19일, Mariana 해전에서 미해군 잠수함 Kavara의 어뢰에 격침되어 14시1분에 침몰,
1,272명의 일본해군 승조원이 전사했습니다. /2025042019485750223.jpg
그러나 여러 가지 고려 사항으로 인해
플레처 제독은 일본의 주요 항공모함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게 되자 결국 "도박"을 해야 했습니다.
그래서 플레처 제독은 미해군 항공모함 함대에 북쪽으로 이동하여
정찰비행으로 발견된 일본 항공모함에 더 가까이 다가가 공격범위 내로 끌어들이라고 명령했으며,
다른 일본 항공모함의 위치를 탐지하기 위해 정찰기를 계속 보내라고 했습니다.
미해군 항공모함에서 출격한 항공기가 일본의 항공모함을 공격했을 때,
불행히도 그 항공모함이 일본의 경항공모함인 "龍驤"(류조)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러자 미해군 항공모함 함대가 자신들의 위치를 노출한 상황이 되었습니다.
아직 '전투의 안개' 속에서 기동 중이던 일본 항공모함 '翔鶴'(쇼카쿠)와 '瑞鶴'(즈이카쿠)는
즉시 미국 함대에 대한 첫번째 공격 공세를 개시하여
미국의 주력 항공모함 'CV-6 Enterprise'를 손상시켰습니다.
그러나 일본 항공모함 기반 항공기의 두번째 공격이 도착했을 때,
플레처 제독은 이미 미 항공모함 함대를 이끌고 남동쪽으로 대피했습니다.
결국, 일본의 항공모함 출격 항공기들은 빈손으로 돌아와 실망한 채로 솔로몬 해역을 떠나야 했습니다.
↓ 1942년8월25일 동부 솔로몬 제도해역에서
일본 해군전투기들의 추격을 받고 있어 전속력으로 항진하고 있는 CV-6 Enterprise 항공모함의 모습
/2025042020100126608.jpg
※ 결론
PLA 戰史연구기관은
미해군과의 서태평양 지역에서 결정적인 해전의 결과를 내는데 가장 유리한 함정체계는
핵추진 항공모함을 보유함으로서
기동성과 전투능력 모두 더 뛰어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습니다.
첫째, 핵추진 항공모함은 물류에 대한 의존도가 낮고
플레처 제독이 겪었던 상황, 즉 일부 항공모함이 전쟁 전에 보급을 위해
편대에서 철수해야 했던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을 낮게 한다는 것입니다.
둘째, 핵추진 항공모함은 기동성이 빠르므로
미해군 함대에 접근하여 공격범위 내로 끌어들이고자 할 때
목표를 더 빨리 달성하고 공격하고자 하는 미해군 항공모함 전단을 따라잡을 수 있습니다.
셋째, 핵추진 항공모함은 기동범위가 더 넓고 운항속력이 더 빠릅니다.
일단 PLA와 미해군, 일본해군 연합군 측과 2차 태평양 전쟁이 일어나면
모두 상대편 항공모함을 수색하는 단계에 있을 때,
진지를 변경하거나, 은폐하거나, 심지어 전투가 벌어지는 해역에서 철수해야 할 경우,
이를 더 쉽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핵추진 항공모함은
싸우고 싶을 때는 보급품이 부족할 걱정을 할 필요가 없으며,
숨고 싶을 때는 숨을 수 있으며,
싸움을 위해 미해군 전단에게 접근하고 싶을 때는 따라잡을 수 있습니다.
해상에서 기동작전을 수행할 주도권을 확실히 쥐고 있으며,
해상전투에서 지면 후퇴할 수도 있는 기회를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PLA해군이 주력으로 보유 운영하고 있는 CV-16, CV-17 과 같은 재래식동력 항공모함이
순항모드에서 전시 고속항해로 전환해 미해군 전단에 대한 공격을 회피하고
위치를 조정하고 함재기들을 이륙 및 착륙시키면 연료소모량이 급격히 증가합니다.
이런 이유로 CV-16 랴오닝 항공모함은 8천톤의 연료비축량을 보유하고 있지만
전시 최대순항거리는 약 5천해리에 불과하다는 것이
러시아해군 정보기관의 분석에 의해 결론이 났습니다.
실제 전투에서 이처럼 긴 지구력과 무거운 연료, 탄약, 물류 공급품을 가지고 있다면
물류에 대한 의존도가 낮고 기동성이 뛰어나며 속도가 빠른 미국의 핵추진 항공모함을 상대하는 것은
당연히 수동적인 입장에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항공모함 대결에서는
주도권을 잡는 측이 더 큰 이점을 가지고, 주도권을 잡는 측이 종종 승리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입니다.
CV-18 항공모함이 본격적으로 운영되기 전까지는
PLA해군의 항공모함 탑재 항공기의 장거리 탐색 및 정찰 능력에는 아직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PLA해군은 핵추진 항공모함을 가져야 하며,
그것도 미해군 포드급 이상의 초대형 항공모함이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2025년2월부터 CV-18 푸젠함의 7차 해상실험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7차 해상실험의 주목표는 바로 함재기들의 이착함에 있는 것입니다.
↓ CV-18 푸젠함 3번 EMALS 캐터펄트에서 함재기가 발함한 것으로 추정되는 위성사진 모습,
2025년3월15일경 추정 /2025042104241475432.jpg
CV-18 푸젠함에 설치된 EMALS(전자기식 캐터펄트)는 기술적 혁신일 뿐만 아니라 전략적 무기이기도 합니다.
이 기술이 성공적으로 적용되면
항공모함 기반 항공기가 신속하게 이착륙하고 더 넓은 전투반경을 포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중요한 것은 PLA해군의 전 세계, 특히 서태평양에서의 미해군 항공모함 전단을 견제할 수 있는
억제력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 CV-18 푸젠함의 어레스팅 와이어에 의해 착함한 타이어 흔적들 /2025042021175675155.jpg
과정이 다소 느리기는 하지만,
시간적으로 볼 때 CV-18 푸젠 항공모함의 시험 진행상황은 여전히 CV-17 산둥 항공모함 보다 앞서 있습니다.
푸젠 항공모함은 작년에 첫 해상시험을 시작했으며, 현재 7번째 해상시험을 진행 중이며,
시험에 들어간 지 불과 9개월 남짓 걸렸습니다.
비교해보면 CV-17 산둥 항공모함은
첫번째 해상시험을 마친 지 9개월 만에 다섯번째 해상시험을 마쳤고,
아직 함재기 이륙이나 착륙을 한 적이 없었습니다.
CV-17 산둥 항공모함이 일곱번째 해상시운전을 시작할 무렵,
첫번째 해상시운전을 한 지 14개월이 지났습니다.
미해군의 CVN-68 Nimitz 항공모함은 내년에 퇴역할 예정이며,
중국과 미국의 항공모함 수 차이는 7척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이 숫자가 여전히 많아 보이지만,
미해군의 항공모함은 전 세계 배치를 유지해야 하는 반면,
PLA(중공인민해방군) 해군의 항공모함은
이제 서태평양만 마주하면 된다는 점이 새롭게 부각되는 상황입니다.
CVN-68 Nimitz가 퇴역한 후,
미해군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2척 이상의 항공모함을 배치하는 것이 어려워질 것입니다.
따라서 PLA 해군이 항공모함 3척을 보유하게 되면,
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 1위의 해군력을 유지해 온 미해군은
처음으로 태평양에서 항공모함 전력이 불리하다는 판단을 하게 될 것입니다.
미해군의 해상전력 우위는 미국의 세계패권과 경찰국가로서의 질서를 유지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였으나,
CV-18 푸젠 항공모함의 등장은
PLA(중국인민해방군)해군이 이러한 미해군 7함대의 태평양 질서기반을 흔들 수 있게 했다는 점에
우리는 주목해야 합니다.
CV-18 푸젠 항공모함이 실전배치되면,
미해군은 앞으로 서태평양에서 전략적 방어태세로 전면전환하여
1~2척의 항공모함으로 구성된 해상기동력을 활용하여
PLA해군의 2~3척 항공모함의 압박을 견뎌내야 하며
훈련을 가장하여 불시에 대만을 향한 군사침공작전으로 전환하게 되면
본격적인 제 2차 태평양 전쟁으로 돌입되어야 하는 큰 부담까지 짊어져야 합니다.
↓ PLA해군이 보유한 함선을 모두 모형으로 구현한 모습
(2025.04.19.18시21분 공개)/2025042104485562742.jpg
↓ PLA해군이 보유한 함선을 모두 모형으로 구현한 모습
(2025.04.19.18시21분 공개)/2025042104560778375.jpg
↓ PLA해군이 보유한 함선을 모두 모형으로 구현한 모습
(2025.04.19.18시21분 공개)/2025042104590047586.jpg
↓ PLA 해군이 보유한 함선을 모두 모형으로 구현한 모습
(2025.04.19.18시21분 공개)/2025042105010678365.jpg
★ PLA해군 항공모함 전단이
미해군 항공모함 전단과 일전을 벌일 거리는 중국본토를 기준 1천해리 해상으로 지정.
그러기 위해서는 Guam 미군기지 타격은 불가피
2025년3월28일에 공개된 『Free Star Report』에 의하면
Pentagon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군의 전략적 허브인 Guam이
대만해협을 가로지르는 전쟁의 초기 단계에서 중국의 미사일공격의 주요표적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PLA(중국인민해방군)은 DF-26 "Guam Killer" 미사일과 H-6K 폭격기를 이용해 괌을 공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여
미군은 THAAD, SM-6, SM-3 및 기타 미사일방어시스템 확장을 포함하여
괌의 방위를 강화하기 위해 73억$를 투자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Secretary of the Air Force(미국공군 장관) 후보자인 Troy Meink는
중국의 군사발전이 일부 분야에서 미국을 앞지르면서 미국이 기술적 우위를 상실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또한 괌은 중요한 전방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국과 같은 "적대경쟁자"에 대응하기 위해 탄약저장용량을 확장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Washington Post 紙는
미 국방부 관계자의 이번 주 브리핑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 사이에 대만을 둘러싼 전쟁이 발발하면
태평양의 외딴 섬인 괌이 전쟁 초기 중국인민해방군의 미사일공격의 주요 타깃이 될 것이며,
괌의 공항과 항구가 빠른 시간안에 파괴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고 보도했습니다.
중국의 전쟁목표는 14일 이내에 대만을 신속히 합병하는 것입니다.
↓ 2023년6월6일11시55분에 포착된
공중급유수유봉이 장착된 H-6N의 ALBM(공중발사탄도미사일) 장착 모습, Guam까지 전투비행이 가능
/202504202144248801.jpg
한편, Pete Hegseth 미국방장관은 3월27일 Guam을 방문해
괌의 대규모 미사일방어구축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국가미사일방어 구상인 '골든 돔'의 '모델'이라고 밝혔다.
Pete Hegseth는
"우리는 괌 방어시스템에서 많은 것을 배우고, 이를 미국본토의 방어계획에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Pete Hegseth는 괌에 주둔한 수백명의 미군에게 한 연설에서
괌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창끝"이라고 말했습니다.
Pete Hegseth는
"여러분들은 위험한 지역에 있으며, 미국의 군사적 투사를 위한 플랫폼이고,
모든 미국 국민이 여러분들에게 의지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Pete Hegseth는 미군이 개혁을 거치고 있으며,
기본으로 돌아가고 갈등억제력을 강화하기 위해 전투준비태세에 집중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Pete Hegseth는 또한 괌 근처의 태평양 섬나라들이 중공의 침투와 압력이 점차 커지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또한 Pete Hegseth는
"미국은 중국의 침략에 저항하기 위해 동맹국들과 협력할 것이며,
이 섬들에 대한 모든 공격은 미국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Pete Hegseth는 미국은 중공과 전쟁을 원하지 않지만,
미국군대는 언제든지 (중국과 싸울) 준비를 갖춰야 할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 2024년3월27일, Guam 미군기지를 방문하여 미군들에게 발언을 하는 Pete Hegseth 미국방장관
/2025042021584562810.jpg
※ 중공의 대만 침공시 Guam의 전략적 분석
Guam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가장 서쪽에 위치한 영토입니다.
이 섬에는 17만명의 미국시민과 6400명의 미군이 주둔하고 있습니다.
미사일과 폭탄저장시설, 미해군 함선들과 잠수함, 미공군 폭격기, 미육군 미사일방어시스템이 다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방부는 괌의 전략적 지위를 강화하기 위해 2028년까지 군사건설에 73억$를 투자할 계획입니다.
올해 2025년1월, B-1폭격기 4대가 합동훈련을 위해 괌에 잠시 배치되었는데,
당시 일본과 한국 전투기와 함께 비행했습니다.
그러나 미공군은 더 이상 괌에 B-1, B-2, B-52 전략폭격기를 지속적으로 배치하지 않습니다.
5척의 핵추진 공격잠수함도 괌에 배치되어 있으며
중국이나 다른 적대국에 대한 미군의 비대칭 전쟁능력의 핵심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만...
그러나 중국의 미사일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미공군은 민첩한 전투투입전략을 채택했습니다.
이는 PLA(인민해방군) 미사일의 정밀타격을 피하기 위해
전투기를 여러곳의 소규모 공항에 분산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그래서 나온 방안이 Tinian 섬의 활주로 재개공사와
기존 국제공항의 공군기지역할을 부여하기 위한 대규모 개조공사 프로젝트가 2024년부터 시행 중인 것입니다.
↓ 미국령 Guam 동쪽 상공에서 본 미해군 기지시설 모습/2025042022045665369.jpg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 사령관인 Samuel John Paparo 제독도
괌의 다층 미사일 및 방공시스템을 강화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고 말했습니다.
국방력을 강화하기 위해, 국방부는 미사일 및 방공 시스템 구축을 긴급히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 미국정부는 괌의 방위력 개선을 위해 15억$를 승인했습니다.
여기에는 현재 배치된 "종말고도 지역방어시스템" (THAAD)포대 확장,
해군 SM-6 및 SM-3 Block IIA 미사일요격기 추가,
지상기반 "이지스 어쇼어" 시스템,
첨단 레이더 및 센서를 추가하여 "360도 전방위" 방어를 달성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펜타곤의 최신 중국 군사력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인민해방군은 탄도미사일과 순항미사일로 괌을 공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보고서는 인민해방군의 지상공격 순항미사일(LACM)이
런하이급 미사일순양함과 같은 수상함에 배치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중국의 H-6K 폭격기도 필리핀해로 비행하면서
공중발사 순항미사일(ALCM)로 괌을 공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었습니다.
가장 우려되는 위협 중 하나는 중국의 DF-26 "괌 킬러" 중거리 탄도미사일입니다.
2024년10월 국방정보국(DIA)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DF-26의 수를 빠르게 늘리고 있다고 합니다.
↓ Guam의 미 육해공군 기지시설 위치/2025042022143288069.jpg
★ 미국도 너무 늦게 중국과의 전쟁준비로 전환한 상황
↓ Tinian 섬에 일본본토를 향해 B-29폭격기 전용활주로에서 핵무기를 실어 이륙하였던
정글로 뒤덮힌 North Field Air Base가 활주로 정리 공사가 한창인 모습
(2025.04.07.07시19분 공개) /202504210505575601.jpg (source : Planet Labs)
2024년 미군은
서태평양 티니안 섬에 있는 제2차 세계대전 공항의 개조공사를 재개하는 데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2023년12월3일부터 2025년1월29일 사이에 촬영된 위에 게재된 위성사진은
Tinian Island 북부공항의 광활한 지역 내에 있던
무성하게 자라 나무와 풀들로 덮여진 활주로, 유도로, Apron(에이프런, 계류장) 및 기타 시설을
점진적으로 정리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Tinian Island는 Guam에서 북동쪽으로 약160㎞ 정도 떨어져 있는 사이판섬 근처에 위치해 있는데
이 곳은 북마리아나제도의 일부이며 미국의 해외영토입니다.
↓ Tinian Island 에 정글로 뒤덮힌 2차 대전 당시 활주로,
계류장 시설들이 정리되는 상황을 일자별로 정리한 위성사진 모습 /2025042219573867721.gif
이 활주로는 일본과 2천㎞ 정도 떨어져 있는 곳입니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 일본은 처음으로 티니안 북부에 기지를 건설했습니다.
미국은 사이판 전투 후 이 기지를 점령한 뒤 45일 만에 대대적으로 활주로 4개로 확장하여
B-29폭격기 500대와 전투 및 물류 인력 4만명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게 했고,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군사기지가 되었습니다.
2차 세계대전 후반, 미국의 B-29폭격기가 일본에 대한 공습을 실시했는데,
이곳을 통해 원자폭탄 2회 투하도 포함되었으며, 모두 이곳에서 이륙했습니다.
그러나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미국은 2년 후에 이곳을 용도폐기 하였으며,
그 후 50년 동안 이곳에서는 잡초와 나무만이 무성하게 자라 정글화 되었습니다.
↓ 50년이 지난 후 중국과 전쟁에 준비하기 위해
Tinian 섬을 다시 찾아 활주로 건설재개 임무를 부여 받은 FAR EAST DISTRICT COE
(US ARMY, CORPS OF ENGINEER) 관계자들 모습/2025042105165048104.jpg
미국이 Tinian 섬 공군기지를 재가동하면
현재 중공의 제2열도 범위에 주둔하고 있는 미 공군, 해군, 육군이
단시간 내에 제1열도와 대만해협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동시에 Guam에 주둔한 기존 미군부대와 보완적이고 지원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 중국과 전쟁에 대비하기 위해 기존 남쪽에 위치한 Tinian 국제공항도
미공군 군용공항으로 개선하는 확장공사를 하고 있는 모습./2025042105220310509.jpg
Tinian 섬에는 실제로 두개의 공항이 있습니다.
이번에 재개관 공사를 하고 있는 북쪽에 위치한 공항은 2차 세계대전 이후 폐쇄된 군용공항이었습니다.
미국은 또한 남쪽에서 사용되던 티니안 국제공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입수된 정보에 따르면,
민간공항의 남쪽과 북쪽에 대규모 에이프런, 격납고, 연료시설 및 관련활주로가 건설될 예정입니다.
이러한 확장을 통해 Tinian 국제공항은 중국과의 전시에 더 많은 전투기를 수용할 수 있게 됩니다.
↓ Tinian 국제공항 시설 및 활주로 보수건설 날짜별 변화 상황
(2025년2월21일19시44분 공개)/202504221951584312.gif
Guam은 미국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으며,
Apra 미해군 기지와 Anderson 공군기지가 위치해 있습니다.
Apra 미해군 기지는 미국본토 밖에서 미해군 핵잠수함을 수리할 수 있는 유일한 항구이기도 합니다.
↓ Apra Naval Base (2019.07.06.)/2025042219193425520.jpg
따라서 이 2곳의 미해군, 미공군 군사기지를 통해
미국은 장기간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전략 폭격기(B-52H/B-1B/B-2)와 핵잠수함 전력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2025년 현재 Guam은
6~12대의 B-52H 또는 B-1B 전략폭격기, F-22비행대(199 전투기 비행대)
및 F/A-18 항공모함 기반 항공기를 정기적으로 배치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새로운 F-35A 비행단이 추가되었습니다.
또한 KC-135Tanker, MQ-4C Poseidon Drone 및 E-3 AWACS도 배치되었습니다.
154개의 토마호크 순항미사일을 운반할 수 있는 로스앤젤레스급 공격핵잠수함 4척이
Apra 미해군 기지에 주둔하고 있습니다.
현재 Guam에는 THAAD, Patriot3 미사일방어시스템, 아이언 돔 미사일방어시스템도 배치되어 있습니다.
또한 SM-3 Block IIA 요격체를 장착한 지상기반 이지스시스템도 2025년에 배치될 예정입니다.
2024년 미 국방권한법을 통해
Tinian 공항 재가동을 위한 프로젝트 자금으로 1억$ 이상을 제공하였습니다.
이 금액 중 2600만$는 공항개발에, 2천만$는 연료저장시설에, 3200만$는 Apron(계류장) 건설에,
4600만$는 화물Apron과 활주로확장에, 470만$는 이후 시설유지관리에 사용되었습니다.
Tinian Island에 백업용 군사기지를 건설하는 주된 이유는
Guam기지가 중공의 탄도미사일에 의해 파괴될 경우를 대비하여
Tinian섬 기지를 태평양에서 미군전투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전체 프로젝트 비용은 약1억6200만$이며
Tinian Island 백업 군사기지 계획은 2022년2월부터 시작되어 2025년말에 완료될 예정으로 되어 있습니다.
↓ Tinian 공항이 개선되어 공군기지화 되는 것과 함께
이 기지와 연결되어 연료를 수송하기 위해 Tinian 항구에 2개의 새로운 수송파이프 라인을 건설할 예정입니다.
(source : U.S.A,F.)/2025042221300820285.jp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