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5광복절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광복절
광복절(光復節)은
1945년8월15일, 우리가 일본의 식민지배에서 벗어나 광복(빛을 되찾음)한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공식 명칭은 대한민국 광복절이며, 국경일이자 공휴일이다.
의미
광복(光復) : 잃었던 국권과 자유를 되찾았다는 뜻.
8월15일 : 일본이 연합국에 무조건 항복을 선언한 날로, 한반도에서 35년간의 식민통치가 끝났다.
이중 의미 : 1948년8월15일은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어, 정치적 독립의 날이자 정부수립일로도 기념된다.
기념 방식
전국에 태극기를 게양
독립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포상 및 예우
기념식(서울 종로구 독립기념관 또는 중앙행사장)
역사 교육과 독립운동 관련 전시, 행사
상징성
광복절은 단순히 일제의 패망을 기념하는 날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의 독립운동과 희생의 결실을 되새기는 날이다.
또한 현재와 미래 세대가 자유와 주권의 가치를 지키는 책임을 다짐하는 의미도 있다.
1. 1945년 이전의 상황
1910년 : 한일병합조약으로 조선이 일본에 강제병합.
1930~40년대 : 일본은 중일전쟁(1937)과 태평양전쟁(1941) 등 확전 속에서 조선의 인력·물자·문화까지 동원.
독립운동 : 국내외에서 의병, 임시정부 활동, 독립투쟁(광복군) 지속.
연합국과의 연결 :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해외독립운동가들이 미국·중국·소련 등과 외교 접촉.
2. 제2차세계대전과 국제정세
1941년 : 일본, 진주만 공격 → 미국 참전.
1943년 카이로 회담 : 미국·영국·중국이 일본의 점령지 처리 논의,
"조선은 적당한 시기에 자유와 독립을 줄 것" 선언.
1945년2월 얄타 회담 : 독일·일본 전후 처리, 소련의 대일전 참전 합의.
1945년7월 포츠담 선언 : 일본에 무조건 항복 요구.
⏳ 3. 1945년8월 전후의 결정적 흐름
8월6일 : 미국, 히로시마에 원자폭탄 투하.
8월8일 : 소련, 대일 선전포고 후 만주·한반도 북부 진격.
8월9일 : 나가사키에 원자폭탄 투하.
8월15일 : 일본, 무조건 항복 → 태평양전쟁 종료 → 한반도 식민지지배 종식.
4. 한반도의 변화
일본 패망 직전, 미·소가 한반도를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분할점령(임시조치).
북위 38도 선 기준으로
남쪽: 미군정, 북쪽: 소련군정.
1948년8월15일 : 대한민국 정부수립 → 광복절이 독립과 정부수립을 함께 기념하는 날이 됨.
요약
광복절은 단순히 일본의 패전 결과가 아니라,
독립운동 + 국제전쟁 구도 + 연합국의 전후처리 협의가 맞물린 결과이다.
다만 해방과 동시에 분단의 씨앗이 뿌려졌다는 점에서, 1945년은 기쁨과 복잡한 미래가 함께 시작된 해였다.
댓글목록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최고관리자 아이피 115.♡.168.73 작성일
광복절 노래에도 있듯이, '압박과 설움에서 해방된' 날을 자축하는 경축일이다
그 압박과 설움은 일제통치 뿐만아니라 조선왕정으로부터의 연장선을 끊는 것이다
즉, 조선왕정과 일제통치에서 해방되어 자유민주공화국 수립의 재탄생이며
'백성'에서 '국민'으로 승격되어 "빛을 찾음"을 축하하자는 것이다
또, 1945년은 자력이 아닌 타력으로 해방된 만큼,
1948년 대한민국의 정부수립에 더 큰 의미가 있다
따라서 '광복절'의 의미는 '건국절'로 해석하는 것이 옳다
좌익정계에서는 1948년 남한단독정부 수립을 인정치 않고,
1910년 상해임시정부의 설립을 강조하고 기념해수를 칭한다
국가의 기본 4가지 요소는 국민 국토 정부 주권(외교권)이므로
상해임시정부는 국내외에서 '망명정부'로 인정받지 못 했다
여담으로
조선왕조(대한제국)는
1905년 조일간 을사보호조약을 거처 자력유지할 능력이 없는 와중에
1910년 일제의 압박과 금품공세에 반강제 반자청 매국한 것이다
그나마
조선왕조는 無代價로 중국 또는 러시아에 병합되지 않은 것이 천만다행이고
한국민은 중국/쏘련의 영향에서 벗어나 자유민주공화국을 수립한 것이 다행이다
추가로
500여년 이상의 긴 세월간의 '노비문화'에 익숙한 한국민은
자유, 자립, 독립, 개성의 가치를 잊고
無道 無正義 無法 不公正 不道德한 天地에서
정부의 각종 규제 간섭 단속 등을 보호로 착각하고
그 보호 속에서 안주하려는 '노비정신'에 젖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