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내 재개발·재건축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부동산 > 부동산 일반
미분양 쌓여가지만 다시 재개발·재건축 추진, ‘낡은 집’ 넘쳐나는 부산의 딜레마
방재혁 기자 2025.08.14. 06:00
6월부터 10곳 신규 정비사업 속도, 총 1만5천가구 규모
전문가들 “미분양 누적된 상황…사업성 잘 따져야”
부산시내 재개발·재건축 정비구역이 다수 지정되면서 각 단지들이 정비사업조합 설립을 위한 속도를 내고 있다.
부산은 노후단지가 많아 정비사업이 필요하다는 반응과 함께
최근 부산지역이 미분양에 시달리면서 미분양이 더욱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14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지난 6월부터 이달 초까지 부산에서 10곳 가량의 신규 정비구역이 추가 지정됐다.
신규 정비구역을 포함해 부산시내 정비구역의 가구 수는 총 1만5천가구에 달한다.
일부 사업장은 구역 지정 후 한달 만에 추진위원회 구성을 신청했거나,
법정 동의율인 과반수 동의를 확보하는 등 사업 속도를 내고 있다.
대다수의 지역이 연내 창립총회를 목표로 추진하면서
이르면 올해 말 정비사업조합이 다수 설립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가장 정비사업 추진을 많이 하는 자치구는 부산 연제구다.
현재도 25곳이 넘는 재개발·재건축, 가로주택, 소규모재건축 등이 진행 중인 이 지역은
연산6·11·13·14구역, 거제3구역 등 신규 정비구역 5곳이 추가됐다.
연산13구역은 지난 6월11일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후
약 한달 만에 주민동의율을 확보해 추진위원회 승인을 접수하기도 했다.
연제구는 부산에서 노후 단독주택, 빌라촌 등이 밀집해 노후화가 심한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
이 밖에 사하구·남구(2곳), 동구·금정구(1곳) 등에서
신규 정비구역이 지정·고시 됐거나 추진위 승인 신청·동의서 징구를 진행 중이다.
업계에서는 부산지역 아파트 노후화가 심해
정비사업이 불가피하다는 반응과 함께 선별수주 기조를 강화한 상황에서도 수주를 고려할만한 사업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부산은 서울·수도권 다음으로 수주를 고려하는 사업장”이라며
“사업성을 따져봐야 하지만 부산지역 정비사업은 수요가 어느 정도 있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편”이라고 말했다.
반면 최근 부산지역 미분양이 쌓여 사업성 문제로 시공사 선정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최근 지방 미분양이 쌓이고 건설업계 침체도 길어지면서 지방 신규사업장에는 소극적”이라며
“부산은 해운대구나 수영구처럼 사업성이 확실한 입지가 아니라면 시공사 선정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국토교통부 미분양주택현황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부산지역 미분양은 5375가구로 전년 동월(5205가구) 대비 3% 증가했다.
전국에서 경기, 대구, 경북의 뒤를 이어 4번째로 많은 수치다.
특히 ‘악성 미분양’으로 꼽히는 준공 후 미분양은 2663가구로 전년 동월(1402가구) 대비 90% 대폭 증가했다.
이 같은 미분양에 실제로 일부 정비사업지가 시공사 선정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부산 동래구 명장2구역은 시공사선정 입찰을 세차례 진행했지만
경쟁이 성립되지 않아 유찰되면서 수의계약으로 전환한 끝에 지난달 두산건설을 시공사로 선정했다.
전문가들은 부산지역 내에서 양극화가 심화할 것으로 우려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부산 일부 노후 지역은 입지만 받쳐준다면 수요들이 있을 수 있다”며
“다만 미분양이 누적된 환경에서 수요, 사업성을 따지지 않고 정비사업을 진행하는 것은
위험성이 크고 부산지역 주택가격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오늘의 핫뉴스
오후 4시인데 "빵이 다 팔렸어요"… 요즘 빵집에 무슨 일?
새 집 넘쳐나는데 또 새 집 지을 궁리… 부산의 딜레마
HBM 사올 곳 없자… 중국, 최후의 수단 시동
美가 중국 발목 걸어준다, 앉아서 떡 먹는 韓 태양광
李 취임 후 걸그룹 멤버, '이 국적' 많아졌다는데
부동산 많이 본 뉴스
미분양 쌓여가지만 다시 재개발·재건축 추진, ‘낡은 집’ 넘쳐나는 부산의 딜레마
‘세컨드홈’ 지방 부동산 수요 촉진 ‘기대’… 관광지·산업단지인근 수요증가 전망
‘무순위 줍줍만 18번’ 주인 못 찾은 서울 아파트, 이달 2번째 공매 진행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